출처:
통제받지 않는 알고리즘의 문제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사업자의 위법행위로부터 소비자와 입점자를 보호하기 위해 추진하던 플랫폼공정화법이 좌초했다. 플랫폼사업자들의 위법성은 다양하다. 논란이 있지만, 쿠팡은 알고
www.hani.co.kr
내용 요약
이 기사에서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자사 플랫폼에서 알고리즘을 통제하지 못하거나 의도적으로 조작해 시장을 왜곡하고, 불공정 행위를 통해 소비자와 입점자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문제를 다룬다.
쿠팡과 카카오모빌리티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알고리즘 조작과 위법 행위가 공정한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 권익을 침해한다고 강조한다. 플랫폼 사업자들은 자율성을 주장하며 규제의 필요성을 부정하지만, 실제로는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책임 회피와 불법 행위가 자행되고 있다.
특히, 알고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은 피해자가 자신에게 가해진 손해를 입증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이러한 비대칭성은 피해를 증명하기 어렵게 하여 피해자가 손해를 보상받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한다.
최근 대통령 소속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가 발족되었으며, 공정성과 윤리성을 우선으로 플랫폼 사업자를 규제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강조된다. 기사는 인공지능 윤리가 미비한 상황에서 알고리즘이 악용되면 민주주의와 사회적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기업 윤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생각 및 의견
통제받지 않는 알고리즘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며, 이는 단순한 기술적 오류가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알고리즘은 그 자체로 중립적일 수 있지만, 이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기업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쿠팡의 알고리즘 조작은 시장 질서를 왜곡하고, 특정 업체나 제품을 부당하게 우대함으로써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공정한 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고리즘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면 피해자는 자신의 피해를 입증할 방법이 없다. 정보의 비대칭성은 플랫폼 사업자가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만들며, 그 결과 피해를 본 소상공인이나 소비자는 법적 구제조차 어렵게 된다.
알고리즘의 불투명성과 비대칭성은 결국 책임의 전가로 이어져, 소수의 플랫폼이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
따라서 플랫폼 사업자의 자율성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와 인공지능 윤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알고리즘은 인간이 만든 도구이기 때문에, 그 운영 과정에서 공정성과 윤리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가 차원에서 알고리즘과 인공지능의 공정성을 검토하고 이를 규제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기업들 또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윤리적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알고리즘이 제대로 통제되지 않으면 이는 사회적 불평등과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공정한 규제와 기업의 자발적인 윤리 의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UI (1) | 2024.11.21 |
---|---|
DB 무단 변경 및 손상으로 인한 피해 (0) | 2024.10.18 |
Critical Path Method (CPM) (0) | 2024.09.24 |
설문조사 : 개인정보 보호법 (11) | 2024.09.18 |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 (3)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