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실무 스크럼 칸반 지라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프로젝트 개념
- 특정 제품, 용역, 또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투입되는 일시적인 노력
- 목표지향적 행위
- 반복 X, 운영 X
2. 프로젝트 특징
-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가진다.
- 한시적이다.
- 프로젝트 그 자체(즉, 환경, 행위, 내용 결과)는 유일하다.
- 점진적인 상세화 : 불확실하고 선명한 고객의 요구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행위
- 프로젝트는 현재의 개선활동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변화를 수반하다,
- 프로젝트 결과물은 가치를 가져야 하며 그러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모든 프로젝트는 재무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 고유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을 만든다.
3. 프로젝트 환경 요인
-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거나 성공을 둘러싼 내, 외부 환경
- 프로젝트 관리와 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
- 주요 환경요인
- 조직 문화, 구조와 프로세스
- 산업표준 및 정부기준, 규제 등
- 인프라
- 기업 인사관리 및 작업 관리 시스템
- 시장의 조건 및 변경, 정치 풍토 등
- 위험에 대한 허용 한도와 리스크에 대한 정보력
4. 프로젝트 조직 자산
- 프로젝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젝트 조직의 프로세스 관련 모든 자산
- 주요 자산
- 작업 수행 프로세스와 절차 관점: 표준문서, 템플릿, 가이드 라인, 변경 및 통제 절차 등
- 조직 지식 기반 관점: 형상관리 SW, 재정관리 SW, 프로세스 측정 DB 등
- MS Project, Jira, Asana 등은 대표적인 프로젝트 조직 자산관리 SW
5.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에게 구조, 프로세스, 의사결정 모델, 도구 등을 제공하는 역할
- 주요 내용
- 프로젝트 목표, 성공기준, 최종 산출물 기준
- 이슈 식별 및 분석 프로세스
- 팀, 그룹, 각종 이해관계자들의 관계
- 각 부문 별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세스와 절차
- 전체 프로젝트 거버전스와 전략일치를 위한 가이드라인
- 기타 변경 및 승인과 검토 절차 등을 모두 포함
프로젝트 유사 개념
1. 프로그램
- 프로젝트의 묶음을 그룹으로 관리할 때 사용
- 비즈니스의 목적과 이득에 따라 구분
- 원가, 일정, 투입 자원을 최적화하여 점차 수익을 증대하도록 하는 행위
- 프로젝트와 달리 끝이 따로 명기되지 않음.
- 목적이 달성되면 목적을 재설정하는 식으로 작업을 지속
- 예: 사업분야에 따라 공공사업부, 디지털사업본부, 교과서본부 등 / 사업영위 목적에 따라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 사업 수행 지역에 따라 아시아 본부, 유럽본부 등
2. 포트폴리오
-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해서 프로젝트나 프로그램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적절히 묶어 놓은 그룹
- 프로그램은 관리 차원에서, 포트폴리오는 존재 목적으로
- 어떤 일을 할 지 말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
- 결국은 전략적 목표에 부합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중요
- 각각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들에 투입된 자원들을 공유하고 이때 자원 사용도를 측정 분석 하는 것도 포트폴리오 관리에서 중요
프로젝트 인적자원
1. 프로젝트 이해관계자(stakeholder)
- 프로젝트 수행, 성공 여부와 관련하여 긍정적,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개인 혹은 조직
- 대표적인 이해 관계자
- 프로젝트 관리자
- 고객
- 기능부서 관리자
- 스폰서
- 프로젝트 팀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 포트폴리오 관리자
- 프로그램 관리자
- 운영관리자
- 판매자/비즈니스 파트너
2. 프로젝트 팀
-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직접적으로 투입되어 함께 일하는 사람들
- 대표적인 팀 구성 프로젝트 관리 스태프: PM, PL
- 프로젝트 스태프: 실제 프로젝트 참가자. 디자이너, 개발자 등등
- 서포트 전문가: 예를 들어 애자일 방식일 경우 스크럼 전문가 등
- 사용자 또는 고객 대표
- 판매자
- 비즈니스 파트너 멤버
- 비즈니스 파트너
3. PMO
- 전사 차원의 프로젝트 관리 조직
- PMO 유형: 지원형(템플릿,베스트프랙티스, 교육 등의 정보 제공), 통제형(양식 도구 방법론 등을 통해 프로젝트를 지원 관리하며 프로세스 준수를 요구), 지시형(직접관리 및 통제, 감나라배나라부)
- PMO 주요 역할
-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세스, 실무관행 및 표준 개발
- 프로젝트 간의 전반적인 자원공유, 의사소통 및 조율
-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형상관리
-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도구에 대한 운영 및 관리의 지원
- 전사적 차원에서 프로젝트의 일정과 예산에 대한 감시
- 프로젝트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
- 기존의 프로젝트 수행 방법에 대한 개선
- 지속적인 벤치마킹
프로젝트 관리
1. 개념
-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스킬, 도구, 기법들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활동
-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기법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활동
2. 필요성
- 왜 프로젝트는 실패할까?
- IT프로젝트의 74%실패. 그 이유는
- 부정확한 요구사항
- 사용자 환경에 대한 이해 부족
- 부족한 자원, 관리자원의 부족
- 비현실적인 기대치
- 변경관리의 부족
- 프로젝트 계획의 부실
-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가용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예기치 않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 이것이 바로 프로젝트 관리.
3. 핵심가치와 원칙
- 핵심가치: 책임, 존중, 공정, 정직
- 원칙
- 성실
- 배려
- 협력적 환경 조성
- 가치 중심
- 상황에 따른 조정력
- 프로세스와 품질체계 구축
- 리스크대응과 최적
- 리더십, 그리고 상황 적응력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1. 개념
-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탄생부터 소멸에 이르는 전체 기간
2. 종류
예측형 (ex. Waterfall Model)
명확한 요구 사항 정의와 범위 및 품질 수준에 대한 목표 정의
예측 가능
정확한 프로젝트 계획 수립 및 수행이 가능한 프로젝트
명확한 요구사항도출, 디테일한 계획수립과 실 행, 그리고 엄밀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적 용이 가능해야 함
적응형 (ex. Agile Model)
요구사항과 범위, 품질 기준의 변동성이 큼
프로젝트 목적물의 불확실성이 높은 프로젝트 에 적합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프로젝트 변 경과 요구사항을 융통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핵심
프로젝트 환경 요소에 대응하기 적합
짧은 개발주기와 반복, 그리고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 요구사항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1. 이해 관계자 관리
- 이해 관계자 식별
- 이해관계자 관리 계획
- 이해관계자 참여 관리
- 이해관계자 모니터링
2. 프로젝트 팀 관리
- 팀 역량
- 조직역량
- 자원관리계획
- 팀 원 확보
- 팀 개발
3. 개발 방식 및 라이프사이클 관리
- 요구사항 분석
- 서비스기획
- 상세설계
- 코딩
- 테스팅
- 설치
- 컨버전
- 운영
4. 프로젝트 관리
- 범위관리(범위 기술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요구사항 관리
- 일정관리(액티비티 정의, 액티비티 순서배열)
- 원가관리
- 품질관리
- 프로세스 개선 관리
- 자원관리(인적, 물적)
- 의사소통 관리
- 위험관리
- 이해관계자 관리
= 성과측청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L이란? (0) | 2024.07.10 |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5) (0) | 2024.04.30 |
회고 : LMS System Sub-Project(JSX) (0) | 2024.04.07 |
Online Education API Mini Project (1) | 2024.03.21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3) (0) | 2024.03.15 |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실무 스크럼 칸반 지라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프로젝트 개념
- 특정 제품, 용역, 또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투입되는 일시적인 노력
- 목표지향적 행위
- 반복 X, 운영 X
2. 프로젝트 특징
-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가진다.
- 한시적이다.
- 프로젝트 그 자체(즉, 환경, 행위, 내용 결과)는 유일하다.
- 점진적인 상세화 : 불확실하고 선명한 고객의 요구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행위
- 프로젝트는 현재의 개선활동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변화를 수반하다,
- 프로젝트 결과물은 가치를 가져야 하며 그러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모든 프로젝트는 재무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 고유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을 만든다.
3. 프로젝트 환경 요인
-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거나 성공을 둘러싼 내, 외부 환경
- 프로젝트 관리와 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
- 주요 환경요인
- 조직 문화, 구조와 프로세스
- 산업표준 및 정부기준, 규제 등
- 인프라
- 기업 인사관리 및 작업 관리 시스템
- 시장의 조건 및 변경, 정치 풍토 등
- 위험에 대한 허용 한도와 리스크에 대한 정보력
4. 프로젝트 조직 자산
- 프로젝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젝트 조직의 프로세스 관련 모든 자산
- 주요 자산
- 작업 수행 프로세스와 절차 관점: 표준문서, 템플릿, 가이드 라인, 변경 및 통제 절차 등
- 조직 지식 기반 관점: 형상관리 SW, 재정관리 SW, 프로세스 측정 DB 등
- MS Project, Jira, Asana 등은 대표적인 프로젝트 조직 자산관리 SW
5.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에게 구조, 프로세스, 의사결정 모델, 도구 등을 제공하는 역할
- 주요 내용
- 프로젝트 목표, 성공기준, 최종 산출물 기준
- 이슈 식별 및 분석 프로세스
- 팀, 그룹, 각종 이해관계자들의 관계
- 각 부문 별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세스와 절차
- 전체 프로젝트 거버전스와 전략일치를 위한 가이드라인
- 기타 변경 및 승인과 검토 절차 등을 모두 포함
프로젝트 유사 개념
1. 프로그램
- 프로젝트의 묶음을 그룹으로 관리할 때 사용
- 비즈니스의 목적과 이득에 따라 구분
- 원가, 일정, 투입 자원을 최적화하여 점차 수익을 증대하도록 하는 행위
- 프로젝트와 달리 끝이 따로 명기되지 않음.
- 목적이 달성되면 목적을 재설정하는 식으로 작업을 지속
- 예: 사업분야에 따라 공공사업부, 디지털사업본부, 교과서본부 등 / 사업영위 목적에 따라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 사업 수행 지역에 따라 아시아 본부, 유럽본부 등
2. 포트폴리오
-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해서 프로젝트나 프로그램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적절히 묶어 놓은 그룹
- 프로그램은 관리 차원에서, 포트폴리오는 존재 목적으로
- 어떤 일을 할 지 말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
- 결국은 전략적 목표에 부합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중요
- 각각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들에 투입된 자원들을 공유하고 이때 자원 사용도를 측정 분석 하는 것도 포트폴리오 관리에서 중요
프로젝트 인적자원
1. 프로젝트 이해관계자(stakeholder)
- 프로젝트 수행, 성공 여부와 관련하여 긍정적,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개인 혹은 조직
- 대표적인 이해 관계자
- 프로젝트 관리자
- 고객
- 기능부서 관리자
- 스폰서
- 프로젝트 팀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 포트폴리오 관리자
- 프로그램 관리자
- 운영관리자
- 판매자/비즈니스 파트너
2. 프로젝트 팀
-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직접적으로 투입되어 함께 일하는 사람들
- 대표적인 팀 구성 프로젝트 관리 스태프: PM, PL
- 프로젝트 스태프: 실제 프로젝트 참가자. 디자이너, 개발자 등등
- 서포트 전문가: 예를 들어 애자일 방식일 경우 스크럼 전문가 등
- 사용자 또는 고객 대표
- 판매자
- 비즈니스 파트너 멤버
- 비즈니스 파트너
3. PMO
- 전사 차원의 프로젝트 관리 조직
- PMO 유형: 지원형(템플릿,베스트프랙티스, 교육 등의 정보 제공), 통제형(양식 도구 방법론 등을 통해 프로젝트를 지원 관리하며 프로세스 준수를 요구), 지시형(직접관리 및 통제, 감나라배나라부)
- PMO 주요 역할
-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세스, 실무관행 및 표준 개발
- 프로젝트 간의 전반적인 자원공유, 의사소통 및 조율
-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형상관리
-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도구에 대한 운영 및 관리의 지원
- 전사적 차원에서 프로젝트의 일정과 예산에 대한 감시
- 프로젝트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
- 기존의 프로젝트 수행 방법에 대한 개선
- 지속적인 벤치마킹
프로젝트 관리
1. 개념
-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스킬, 도구, 기법들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활동
-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기법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활동
2. 필요성
- 왜 프로젝트는 실패할까?
- IT프로젝트의 74%실패. 그 이유는
- 부정확한 요구사항
- 사용자 환경에 대한 이해 부족
- 부족한 자원, 관리자원의 부족
- 비현실적인 기대치
- 변경관리의 부족
- 프로젝트 계획의 부실
-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가용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예기치 않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 이것이 바로 프로젝트 관리.
3. 핵심가치와 원칙
- 핵심가치: 책임, 존중, 공정, 정직
- 원칙
- 성실
- 배려
- 협력적 환경 조성
- 가치 중심
- 상황에 따른 조정력
- 프로세스와 품질체계 구축
- 리스크대응과 최적
- 리더십, 그리고 상황 적응력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1. 개념
-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탄생부터 소멸에 이르는 전체 기간
2. 종류
예측형 (ex. Waterfall Model)
명확한 요구 사항 정의와 범위 및 품질 수준에 대한 목표 정의
예측 가능
정확한 프로젝트 계획 수립 및 수행이 가능한 프로젝트
명확한 요구사항도출, 디테일한 계획수립과 실 행, 그리고 엄밀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적 용이 가능해야 함
적응형 (ex. Agile Model)
요구사항과 범위, 품질 기준의 변동성이 큼
프로젝트 목적물의 불확실성이 높은 프로젝트 에 적합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프로젝트 변 경과 요구사항을 융통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핵심
프로젝트 환경 요소에 대응하기 적합
짧은 개발주기와 반복, 그리고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 요구사항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1. 이해 관계자 관리
- 이해 관계자 식별
- 이해관계자 관리 계획
- 이해관계자 참여 관리
- 이해관계자 모니터링
2. 프로젝트 팀 관리
- 팀 역량
- 조직역량
- 자원관리계획
- 팀 원 확보
- 팀 개발
3. 개발 방식 및 라이프사이클 관리
- 요구사항 분석
- 서비스기획
- 상세설계
- 코딩
- 테스팅
- 설치
- 컨버전
- 운영
4. 프로젝트 관리
- 범위관리(범위 기술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요구사항 관리
- 일정관리(액티비티 정의, 액티비티 순서배열)
- 원가관리
- 품질관리
- 프로세스 개선 관리
- 자원관리(인적, 물적)
- 의사소통 관리
- 위험관리
- 이해관계자 관리
= 성과측청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L이란? (0) | 2024.07.10 |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5) (0) | 2024.04.30 |
회고 : LMS System Sub-Project(JSX) (0) | 2024.04.07 |
Online Education API Mini Project (1) | 2024.03.21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3)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