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ODUCT CONCEPT : 제품 컨셉 규정하기
- 제품(서비스) 컨셉을 한 문장으로 규정해보기
- 제품/서비스를 가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진이나 이미지가 있다면 첨
- 상용화 할 또는 상용화된 제품(서비스)이 고객에게 전달하는 효용(Benefit)을 고려하여 고객이 이해 가능한 수준의 구체적인 한 문장으로 표현해 보기
- ex. 카카오톡 : 스마트폰 기반의 공짜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세징 서비스
2. MARKET : 시장규정하기
- 시장 포지셔닝 정의 및 시장규모 추정하기
- 고객 세그먼트(ex. 학년, 성별, 지역, 성적)
- 상용화 할 또는 상용화된 제품(서비스)이 위치할 목표(거점) 시장은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해 보기
- 이에 근거하여 해당 목표(거점) 시장의 규모를 추정하여 진입하기에 바람직한 시장인지를 파악해보기
- ex. 카카오톡 : 20-40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전환하는 직장인을 타겟으로 하는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 시장
- 핵심타겟 이용자 수 : 1,000만 명
- 기존 SMS/MMS 1인당 평균 이용료 : 월 990원
- 추정가능한 시장규모 : 약 9000~1,000억 원
3. REPLACEMENT : 시장 내 경쟁재/대체재 규정 및 경쟁강도 체크하기
- 시장에 우리 제품(서비스)가 경쟁을 벌일만한 직접 경쟁재와 간접 경쟁재(대체재) 규정해보기
- 직접 경쟁재 - 우리 제품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특정/성능/원리(구현원리)/Spec 등을 가지고 있는 제품
- 간접 경쟁재(대체재) - 우리 제품과 동일한 특징/성능/원리/Spec은 아니나 고객이 선택/대체 가능한 제품
- 시장경쟁 강도의 수준에 따라 이에 따라 제품의 방향을 설정하고, 추후에 이게 근거하여 차별화 포인트를 발굴
- ex. 카카오톡
- (초기)직접 경쟁재 - N/A, 대체재(간접 경쟁재) - SMS,MMS
- (현재)직접 경쟁재 - Naver LINE, 대채재(간접 경쟁재) - Telegram, SMS
4. DIRECTION : 시장 내 경쟁강도를 고려한 제품의 방향설정하기
- 시장 내 경쟁강도 관찰/조사 결과, 우리 제품이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의 전략방향 설정해 보기
- Pioneer, Tweaker, Settler 중 어느 방향이 바람직 한가?
5. DIFFERENTIATION : 제품의 차별점 규정하기
- Brainstorming
- 앞에서 설정한 제품의 방향을 고려할 때, 직접 경쟁재 또는 대체재와는 완전히 차별화되는 우리 제품의 차별화 포인트를 규정해 보기
- 고객이 느끼는 차별화 포인트
어떤 이유때문에 각 사업방향(Direction)을 선택했는지?
(Pioneer)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고객군/시장을 발굴하는가?
고객의 기존 사용/구매 패턴과 다른 새로운 사용 패턴을 창출하는가?
프로세스의 효율, 제품의 품질이나 고객의 비용 개선 측면에서 기존 경쟁재/대체재 대비 확연히 향상되는가?
(Tweaker)
기존 대체재가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방법이나 컨텐츠를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재미 및 감성을 제공하는가?
기존 대체재와 유사한 아이템이지만, 특정 분야나 테마, 기능, 고객, 시장에서만 집중하는 제품/서비스인가?
프로세스의 효율, 제품의 품질이나 고객의 비용 개선 측면에서 기존 경쟁재/대체재 대비 약간의 향상이 이루어지는가?
(Settler)
타 영역 및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비즈니스 아이템을 변형 없이 도입하여 새로운 시장/고객군에 적용하는가?
타 영역의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그대로 모방하여 나의 사업모델에 적용하는가?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L이란? (0) | 2024.07.10 |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4) (1) | 2024.04.09 |
회고 : LMS System Sub-Project(JSX) (0) | 2024.04.07 |
Online Education API Mini Project (1) | 2024.03.21 |
에듀테크 PM 프로덕트 매니저(13)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