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를 이해하는 것은 웹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xx (Informational)
-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수신되었으며 처리가 진행 중임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상태 코드를 받으면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ex. 100 상태 코드는 "Continue"로, 클라이언트가 요청의 본문을 계속해서 보내도록 허용하는데 사용된다.
2xx (Success)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낸다.
- 가장 일반적인 상태 코드는 200(OK)
- 이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고 서버에서 요청한 리소스가 제공되었음을 의미한다.
- 201(Created)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고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3xx (Redirection)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에 있거나 추가 동작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 ex. 301(Moved Permanently) 상태 코드는 요청한 리소스가 새로운 URL로 옮겨졌음을 의미하며,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URL로 다시 요청해야 한다.
4xx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 ex. 400(Bad Request) 상태 코드는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는 구문 오류가 있음을 의미한다.
- 404(Not Found) 상태 코드는 요청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5xx (Server Error)
- 서버 오류 상태 코드는 서버에 오류가 있어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 ex. 500(Internal Server Error) 상태 코드는 서버에서 처리 중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 503(Service Unavailable) 상태 코드는 서버가 일시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이슈 : 디지털 교과서 도입으로 인한 문제 (1) | 2024.04.26 |
---|---|
SMS 문자 인증 API 정리 (0) | 2024.04.24 |
PM 업무의 이해 : 클라우드 컴퓨팅 및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1) | 2024.04.18 |
커밋 히스토리 유지해서 내 개인 레파지토리 이전 (0) | 2024.04.07 |
unable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in this repository (1)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