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Proposition(핵심 가치 명제)
: 고객의 충족되지 않은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의 유용함을 나타내는 가치
Q. 타겟고객 집단의 충족되지 않은 니즈를 해소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독특하고 유일한 가치?
Q. 타겟집단이 기꺼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가?
제품/서비스를 이용할 타겟 고객 세그먼트 유형?
인구통계학적인 변인
- 나이
- 성별
- 성적 취향
- 가족구성원 수
- 국적/인종
- 사용 언어
- 교육
- 직업
- 소득
- 사회적 지위
- 종교
- 지역
심리묘사적인 변인
- 태도
- 어떤 사건, 이슈에 대한 고객/이용자의 신념/의견
- 성향/취향
- 고객/이용자가 갖고 있는 행동패턴/성향
- 라이프 스타일
- Personality에 따른 고객/이용자의 삶의 방식
- 취미/관심사
- 고객/이용자가 가장 관심 있어하는 취미/관심사
마케팅의 시작, '페르소나(Persona)'란 무엇일까?
[BY 얀스] 안녕하세요! 아날로그 플러스 인턴으로 활동중인 얀스(SOO)예요 ^^ 오늘은 마케팅에 필수적인...
m.post.naver.com
페르소나(PERSONA)
심리학에서의 페르소나
- 심리학에서 말하는 페르소나는, 자신의 모습과 성격을 바람직한 방향
- 원래 성격이라 할 수 있는 "내적 성격(Personality)"와는 달리, 남에게 보여지는 "외적 성격"
마케팅에서의 페르소나
- 마케팅적 의미로 페르소나는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브랜드의 이미지"
- 이러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이미지 메이킹을 ‘페르소나 마케팅’
- 심리학에서 말하는 '페르소나'와는 달리, 마케팅에서의 페르소나는 외향과 실체의 일치를 전제
- 이는 브랜드의 진정성을 알 수 없는 소비자들이 겉으로 드러난 페르소나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성격을 판단하고 평가
그렇다면 마케팅에서 "페르소나를 설정한다."
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페르소나(persona, 복수형 personas)는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만한 목표 인구 집단 안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즉, 마케팅에서 "페르소나를 설정한다."는 것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성을 지닌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는 것

B2B (Business-to-Business)
- 기업 간의 거래
- 다른 기업에게 제품을 판매하거나 다른 기업으로부터 재화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포함
- 도매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기술 및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업체 간의 관계
- ex. 전자 제품 제조업체가 반도체 제조업체로부터 반도체 칩을 구매하여 자사의 제품에 사용하는 것
B2C (Business-to-Consumer)
- 기업과 개인 소비자 간의 거래
-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
- 소매업체와 소비자 간의 관계
- ex. 온라인 쇼핑몰에서 소비자가 의류나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것
B2G (Business-to-Government)
- 기업과 정부 간의 거래
- 기업이 정부 부처나 기관으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정부로부터 계약을 획득하는 것
- 입찰, 제안서 제출, 계약 및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된 거래
- ex. 건설업체가 특정 지역의 정부 부서로부터 도로 건설 프로젝트의 계약을 따내는 것
C2C (Consumer-to-Consumer)
- 소비자 간의 거래
- 개인 소비자가 다른 개인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것
- 주로 온라인 시장이나 중개 플랫폼
- ex. 중고 물품 거래 플랫폼에서 개인이 사용하지 않는 가구나 전자제품을 판매하거나, 다른 개인이 판매하는 중고 물품을 구매하는 것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이슈 : AI 저작권 침해 논란에 대해 (0) | 2024.05.27 |
---|---|
고등학교 봉사활동 기록을 이력서에 적는 것? (0) | 2024.05.22 |
서비스 기획자가 개발 비용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4.04.29 |
IT 이슈 : 디지털 교과서 도입으로 인한 문제 (1) | 2024.04.26 |
SMS 문자 인증 API 정리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