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이해 - 웹 접근성 | 웹발전연구소
홈 > 웹 접근성 > 웹 접근성 이해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www.smartebiz.kr
웹 표준과 웹 호환성 - 웹 접근성 | 웹발전연구소
홈 > 웹 접근성 > 웹 표준과 웹 호환성 웹 표준(Web Standards) 정의 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
www.smartebiz.kr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권리
웹 접근성을 준수하면?
-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원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 하고 이용할 수 있다.
- '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할 수 있게된다.
- 주변 환경(주변소음, 밝은 태양광, 작은 화면 등)이나, 단말기 종류(스마트폰, PC/노트북, 패드)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한 웹을 제공하게 된다.
- 웹 페이지 구성이 논리적으로 최적화되어, 디자인 및 설계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개발/유지보수/개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 된다.
웹 표준(Web Standards) 정의
- 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 표준화 단체인 W3C(World Wide Consortium)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웹 표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웹 표준 준수 이유
국내 웹의 현실은 특정 브라우저와 사용자 등의 이용환경과 비표준 페이지 및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 접근 제약이 있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이다.
웹 표준 장점
1.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
콘텐츠의 올바른 구조화와 CSS로 시각표현을 통일하여 제어하게 되어 페이지 제작의 부담 감소 및 관리용이
2. 접근성 향상
웹 표준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는 다양한 브라우징 환경에 대응이 가능하며 휴대폰, PDA에서도 정상적인 작동 및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도 도움이 되므로 사용자나 접속 장치의 접근성이 용이
3. 검색엔진 최적화(SEO)
구조화된 웹페이지는 검색 로봇 수집을 통해 검색엔진에 효율적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최적화
4. File Size 축소, 서버 저장 공간 절약
효율적인 소스 작성은 파일 사이즈와 서버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화면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5. 효율적인 마크업
CSS와 HTML문서를 분리하여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 향상
6. 호환성 가능
기존 IE브라우저에서만 작동이 가능했던 요소들이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에서도 작동
웹 호환성(Cross Browsing) 정의
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
웹 호환성 준수 이유
- 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고 특정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종속되어 있다면 다양한 운영체제 환경 및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비표준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개방형 통합 플랫폼인 ActiveX가 그 대표적인 예로, ActiveX는 웹사이트에서 정적인 웹문서를 멀티미디어 기술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Plug-in) 기술이나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IE에서만 사용되는 기술로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하여 외국에서 국내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표준화되지 않은 웹사이트로 인해 웹 호환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따라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든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일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 호환성을 준수한 웹사이트의 구축이 필요하다.
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의 이해

- 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의 목적은 웹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점과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 확대, 다양한 환경,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제고 등의 기대효과가 유사하지만 대상 및 종류 등의 준수 내용과 편의를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웹 표준을 준수 하는 것만으로는 웹 접근성이나 웹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웹 호환성을 준수하더라도 웹 접근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 웹 접근성이란 보편적 접근성 확보를 우선시하고, 웹 호환성은 OS, SW에 독립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를 우선시한다.
구분목적준수 내용차이 : 웹 표준(Web Standards), 웹 호환성(Cross Browsing),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웹의 사용성 및 접근성 보장 |
HTML, CSS 등에 대한 WC3규격(문법) 준수 등 - HTML, CSS 문법 준수 - 동작, 레이아웃, 플러그인 호환성 |
웹의 내용, 표현, 행동에 관련된 기술표준 |
웹 브라우저 버전, 종류와 관계없는 웹사이트 접근 |
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 - HTML, CSS 문법 준수 - 동작, 레이아웃, 플러그임 호환성 |
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 |
인적, 환경적 요인에 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 |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와 용이성, 견고성 |
한국디지털접근성진흥원
국가공인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품질인증기관,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인증, 모바일/소프트웨어 접근성 인증 및 컨설팅
www.kwacc.or.kr
1. 정보접근성(웹접근성)(Web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인증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접근약자가 웹 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능정보화기본법」 제4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5조에 의거 ‘국가표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을 준수한 웹사이트에 대해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수준을 인정하고 이를 상징하는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품질 마크를 부여하는 인증 제도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 합격 기준
전문가
- 항목별 준수율 : 24개의 검사항목 모두 평균 준수율 95% 이상
사용자
- 모든 장애 유형의 과업 성공률 100%인 경우 합격
- 각 과업 별 수행 시간이 15분 이내로 성공해야 함
항목별 준수율 예시
1. 회원가입을 해보세요.
2. “정보접근성” 게시글의 첨부파일을 다운받아보세요.
3. “정보접근성 컨퍼런스” 게시글의 사진을 확인해보세요.
4. 업무 절차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5. “장애인 인식개선” 동영상을 확인해보세요.
심사 구분(신규, 갱신)에 따른 사용자 심사원 투입수
신규: 3명의 사용자 심사원
갱신: 2명의 사용자 심사원
사용자 심사원 구성: 전맹시각장애인, 저시력시각장애인,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2. 모바일 앱 접근성(Mobile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MA(Mobile Accessibility : 모바일 접근성) 인증이란?
국가표준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의 준수여부를 평가하는 전문가 심사와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주어진 과업의 수행가능여부를 평가하는 사용자 심사를 수행, 두 심사의 평균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인증 마크 부여
인증 대상 : 마켓(Play Store, App Store)을 통해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 합격 기준
전문가
- 평가지표별 준수율을 심사하여 지표별 가중치(배점)를 적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
사용자
- 주요 서비스 등 10개 이상의 주어진 과업에 대하여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수행가능여부 및 평가지표에 위배되는 접근성 위반사항과 불편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심사. 과업별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
3. 소프트웨어 접근성(Software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국가표준 준수여부를 평가하는 전문가 심사와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주어진 과업의 수행가능여부를 평가하는 사용자 심사를 수행, 두 심사의 평균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인증 마크 부여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기준
- 소프트웨어의 종류와 이용 환경에 맞춰 심사지표 적용
- 소프트웨어 접근성 심사기준 - 이용환경, 심사기준으로 구성이용
[환경심사기준]
웹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
모바일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
기타 | 소프트웨어 접근성 지침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vs. UDP (0) | 2024.04.23 |
---|---|
데이터 웨어하우스 (0) | 2024.04.19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Scrum, 차이점) (0) | 2024.04.17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폭포수 모델, Agile 방법론) (0) | 2024.04.16 |
시간 복잡도 (0) | 2024.04.15 |
웹 접근성 이해 - 웹 접근성 | 웹발전연구소
홈 > 웹 접근성 > 웹 접근성 이해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www.smartebiz.kr
웹 표준과 웹 호환성 - 웹 접근성 | 웹발전연구소
홈 > 웹 접근성 > 웹 표준과 웹 호환성 웹 표준(Web Standards) 정의 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
www.smartebiz.kr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권리
웹 접근성을 준수하면?
-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원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 하고 이용할 수 있다.
- '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할 수 있게된다.
- 주변 환경(주변소음, 밝은 태양광, 작은 화면 등)이나, 단말기 종류(스마트폰, PC/노트북, 패드)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한 웹을 제공하게 된다.
- 웹 페이지 구성이 논리적으로 최적화되어, 디자인 및 설계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개발/유지보수/개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 된다.
웹 표준(Web Standards) 정의
- 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 표준화 단체인 W3C(World Wide Consortium)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웹 표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웹 표준 준수 이유
국내 웹의 현실은 특정 브라우저와 사용자 등의 이용환경과 비표준 페이지 및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 접근 제약이 있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이다.
웹 표준 장점
1.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
콘텐츠의 올바른 구조화와 CSS로 시각표현을 통일하여 제어하게 되어 페이지 제작의 부담 감소 및 관리용이
2. 접근성 향상
웹 표준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는 다양한 브라우징 환경에 대응이 가능하며 휴대폰, PDA에서도 정상적인 작동 및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도 도움이 되므로 사용자나 접속 장치의 접근성이 용이
3. 검색엔진 최적화(SEO)
구조화된 웹페이지는 검색 로봇 수집을 통해 검색엔진에 효율적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최적화
4. File Size 축소, 서버 저장 공간 절약
효율적인 소스 작성은 파일 사이즈와 서버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화면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5. 효율적인 마크업
CSS와 HTML문서를 분리하여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 향상
6. 호환성 가능
기존 IE브라우저에서만 작동이 가능했던 요소들이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에서도 작동
웹 호환성(Cross Browsing) 정의
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
웹 호환성 준수 이유
- 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고 특정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종속되어 있다면 다양한 운영체제 환경 및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비표준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개방형 통합 플랫폼인 ActiveX가 그 대표적인 예로, ActiveX는 웹사이트에서 정적인 웹문서를 멀티미디어 기술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Plug-in) 기술이나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IE에서만 사용되는 기술로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하여 외국에서 국내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표준화되지 않은 웹사이트로 인해 웹 호환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따라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든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일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 호환성을 준수한 웹사이트의 구축이 필요하다.
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의 이해

- 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의 목적은 웹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점과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 확대, 다양한 환경,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제고 등의 기대효과가 유사하지만 대상 및 종류 등의 준수 내용과 편의를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웹 표준을 준수 하는 것만으로는 웹 접근성이나 웹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웹 호환성을 준수하더라도 웹 접근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 웹 접근성이란 보편적 접근성 확보를 우선시하고, 웹 호환성은 OS, SW에 독립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를 우선시한다.
구분목적준수 내용차이 : 웹 표준(Web Standards), 웹 호환성(Cross Browsing),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웹의 사용성 및 접근성 보장 |
HTML, CSS 등에 대한 WC3규격(문법) 준수 등 - HTML, CSS 문법 준수 - 동작, 레이아웃, 플러그인 호환성 |
웹의 내용, 표현, 행동에 관련된 기술표준 |
웹 브라우저 버전, 종류와 관계없는 웹사이트 접근 |
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 - HTML, CSS 문법 준수 - 동작, 레이아웃, 플러그임 호환성 |
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 |
인적, 환경적 요인에 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 |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와 용이성, 견고성 |
한국디지털접근성진흥원
국가공인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품질인증기관,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인증, 모바일/소프트웨어 접근성 인증 및 컨설팅
www.kwacc.or.kr
1. 정보접근성(웹접근성)(Web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인증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접근약자가 웹 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능정보화기본법」 제4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5조에 의거 ‘국가표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을 준수한 웹사이트에 대해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수준을 인정하고 이를 상징하는 정보통신접근성(웹접근성) 품질 마크를 부여하는 인증 제도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 합격 기준
전문가
- 항목별 준수율 : 24개의 검사항목 모두 평균 준수율 95% 이상
사용자
- 모든 장애 유형의 과업 성공률 100%인 경우 합격
- 각 과업 별 수행 시간이 15분 이내로 성공해야 함
항목별 준수율 예시
1. 회원가입을 해보세요.
2. “정보접근성” 게시글의 첨부파일을 다운받아보세요.
3. “정보접근성 컨퍼런스” 게시글의 사진을 확인해보세요.
4. 업무 절차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5. “장애인 인식개선” 동영상을 확인해보세요.
심사 구분(신규, 갱신)에 따른 사용자 심사원 투입수
신규: 3명의 사용자 심사원
갱신: 2명의 사용자 심사원
사용자 심사원 구성: 전맹시각장애인, 저시력시각장애인,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2. 모바일 앱 접근성(Mobile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MA(Mobile Accessibility : 모바일 접근성) 인증이란?
국가표준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의 준수여부를 평가하는 전문가 심사와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주어진 과업의 수행가능여부를 평가하는 사용자 심사를 수행, 두 심사의 평균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인증 마크 부여
인증 대상 : 마켓(Play Store, App Store)을 통해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 합격 기준
전문가
- 평가지표별 준수율을 심사하여 지표별 가중치(배점)를 적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
사용자
- 주요 서비스 등 10개 이상의 주어진 과업에 대하여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수행가능여부 및 평가지표에 위배되는 접근성 위반사항과 불편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심사. 과업별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
3. 소프트웨어 접근성(Software Accessibility)

1. 인증 소개
국가표준 준수여부를 평가하는 전문가 심사와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주어진 과업의 수행가능여부를 평가하는 사용자 심사를 수행, 두 심사의 평균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인증 마크 부여
인증 유효기간 : 1년
2. 심사기준
- 소프트웨어의 종류와 이용 환경에 맞춰 심사지표 적용
- 소프트웨어 접근성 심사기준 - 이용환경, 심사기준으로 구성이용
[환경심사기준]
웹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
모바일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
기타 | 소프트웨어 접근성 지침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vs. UDP (0) | 2024.04.23 |
---|---|
데이터 웨어하우스 (0) | 2024.04.19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Scrum, 차이점) (0) | 2024.04.17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폭포수 모델, Agile 방법론) (0) | 2024.04.16 |
시간 복잡도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