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통합 사용자 친화성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사용자수정 비용절감 기술지원 =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 출처 : https://brunch.co.kr/@brunchjwshim/294 Generalization Personalization Prediction Structed data 영상처리 기초 히스토그램 평활화, 모핑(Morphing) [영상처리 필요성] 인간 정보처리 데이터의 핵심이 시각정보 사람과 같거나 사람보다 나은 일처리 필수적(AI 기계 구현 필수적) 현대의 영상처리 구현에는 다른 분야들과 마찬가지로 AI기술의 적용이 많아지고 있다 [실습 예정] 나의 분석 디지털교과서 + 밀크티 제품 구성, 유아/초/중/고 제품 분석 교원 연수 과정 유아용 오스모 분석 AI 콘텐츠 기획 프로그램 설계..
빅데이터의 활용 다양성 : 정형/비정형의 다양한 데이터 규모 : 테라바이트 수준의 데이터 규모 속도 : 적시성 있는 분석이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 (ex.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 : 구역별 위험도 예측 결과, 방법 시설, 기타자료 등) [KeyPoint] (1) 요청(Request) → 반응(Response) (2) 적응형 ↔ 반응형(유지보수 원활) 홈페이지 제작비용, 반응형과 적응형의 가격이 다른 이유는? 홈페이지 제작비용, 반응형과 적응형의 가격이 다른 이유는? www.openads.co.kr (3)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 모바일 웹 앱 ↔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PWA (Progressive Web Apps) 모바일 기기에서 네이티브 앱(Native App)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웹/앱..
에듀테크 배경 : 1990년대 후반 이후에 출생하여 TV보다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익숙한 모모시대(More Mobile Generation)를 주 대상으로 시작되었으나,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 보급으로 점차 모든 연령대로 확산 (1) 디지털교과서에 첨단 기술의 적용과 확대 (2) 인공지능 AI 선생님 등장 (3) 무료 스마트 강의 확대 (4) 지식 전달을 넘어서는 미래 역량 강화 e러닝 → 에듀테크 미국, 유럽, 중국 등을 중심으로 E-러닝이라는 용어 대신 새로운 개술 트랜드를 반영하며 '에듀테크'를 사용하며 큰 성장세 마이크로 러닝 : 학습 및 교육개념, 한입 크기 학습으로 불리며 한 번에 소화할 수 있는 분량의 학습 콘텐츠를 통해 쉽고 빠르면서도 꼭 필요한 내용을 학습하는 전략(독립성) 학습..
에듀테크가 등장하면서 가장 크게 변화가 예상 되는 것이 바로 교육의 경계 파괴이다. 플립러닝 :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 MOOC : 지역적 경계를 무너뜨리고 박위/비학위의 경계를 무너뜨림 교육산업에 미치는 경계파괴 4가지(1) 교육기관 사이의 경계파괴교육기관이든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누구에게나 접근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2) 교육 공급자 간의 경계파괴 (3) 유통의 경계 파괴최종 소비자는 SNS와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큐레이션 기술로 인해 유통 구조를 거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와 연결이 가능해질 것이다.(4) 프로그램 사이의 경계파괴학습자들의 필요성으로 인해 프로그램들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통합된 프로그램들이 나노디그리의 사례처럼 점점 많아질 것이다. ..
프로덕트(Product) 유사 개념 : (1) 상품 : 주로 물리적인 제품을 의미. (2) 서비스 : 무형의 경제 활동으로, 고객의 요구를 충적시키는 활동이나 성과를 의미함. 물리적 형태가 없음. 프로덕트 매니저란? : "제품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역할" (1)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출시, 관리 총괄 (2) 제품 전략, 로드맵, 기능 정의 담당 (3)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부서 간 협력 프로덕트 매니저는 언제부터 생겨났을까?1930년대 프록터 앤 갬블의 '브랜드 매니저' 개념에서 유래1980년대, 1990년대 IT 및 소프트웨어산업성장과 함께 발전 제품 복잡성 증가로 전문적 역할 필요성 부각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있어 중요한 프로덕트 : Usable(유용한), Feasible(구현가능성), Valu..